인플레이션의 시대, 금 투자 방법은?
금리인하 기대감, 주가 사상 최고치, 불타오르는 주가의 현 상황 금리인하 기대감, 주가 사상 최고치, 불타오르는 주가의 현 상황 목차 1. 금리인하 기대감 - 파월의 FOMC가 금년 내 3차례 금리인하
seon.dobbyjeong.com
금리인하 기대감, 주가 사상 최고치, 불타오르는 주가의 현 상황
금리인하 기대감, 주가 사상 최고치, 불타오르는 주가의 현 상황
목차 1. 금리인하 기대감 - 파월의 FOMC가 금년 내 3차례 금리인하를 발표함. - 이후 미 증시는 급등 -> 한 증시도 상승세(+외국인 매수세) - 시장도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주식시장에 선
seon.dobbyjeong.com
우선주…배당 매력 커졌네
목차 1. 우선주란 - 우선주는 배당하거나 회사 잔여 재산을 분배할 때 우선권을 갖는다. - 의결권은 없지만, 보통주보다 배당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 보통주와 우선주 간 주가 차이인 우선주
seon.dobbyjeong.com
목차
1. 인플레이션 시대
인플레이션의 의미, 즉 물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지금 인플레이션의 시대에 살고 있죠.
그렇다면 우린 궁금해집니다.
인플레이션을 유발한 요인은 무엇일까?
인플레이션은 단순히 한 가지 이유로 발생하진 않습니다.
복잡한 거시경제 상황에서 몇 가지 이유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인플레이션 유발 요인
1) 갑작스러운 수요 증가에 대한 공급(기업)의 소극적 대응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미국은 막대한 양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했죠.
많은 미국 국민들에게 현금을 뿌렸습니다.
갑작스러운 화폐량의 증가는 화폐 가치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많은 현금들은 소비로 연결되는데, 한정된 공급량(재화 및 서비스)은 증가한 수요만큼 가격이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당연한 현상이겠죠?
예를 들어 10개의 과자가 있는데, 기존 구매자는 10명 이내였습니다. 가격 변동의 폭이 좁죠.
근데 10개의 과자(공급)은 그대로인데,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수요)은 100명으로 늘어났습니다.
그렇다면 과자의 가격은 어떻게 되나요?
바로 과자의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이것이 인플레이션, 즉 물가 상승이 됩니다.
그럼 이때 의문이 듭니다.
왜 공급자(기업)은 빨리 생산을 하지 않지?
공급자(기업)의 입장에서는 공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절대적 시간'이 필요합니다.
사업주가 공급을 늘리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어도 기존의 설비, 인력으로 더 많은 공급을 해내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하죠!
수요의 증가와 공급의 증가가 정확한 시기에 맞지 않으면 서로 어려운 일이 발생합니다.
수요의 증가가 더 강할 때에는 소비자들은 더 비싸게 물건을 구매해야하며
공급의 증가가 더 강할 때에는 기업은 많은 재고를 쌓아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과잉생산이라고 부르죠!
그렇기 때문에 공급자(기업)는 지속가능한 수요라고 생각되지 않는 일시적 수요 증가에서 공급을 증가시키긴 쉽지 않습니다.
공급자(기업)가 마음을 먹고 빠르게 생산을 가동해도 수요를 따라가기에 어려운 시점에, 고민까지 하고 있다면 당연히 시간이 더 오래 걸리겠죠?
그 시간 동안에 우리는 많은 물가 상승을 피부로 와닿게 되는 인플레이션 시기를 경험하게 됩니다.
2) 과도한 통화완화 정책의 부작용
위에 언급한 것처럼 과도한 통화정책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합니다.
통화완화 정책은 정부에서 시행하게 되는데, 막대한 양의 완화정책은 자산 가격을 상승시킵니다.
예를 들어, 주식시장과 코인시장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것이죠!
이 과정에서 많은 수익자, 수익 실현자가 발생하게 됩니다.
노동으로 인해 벌어들이는 수익보다 금융(투자)을 통해 벌어들이 수익이 많아지며 점점 자발적 퇴사자가 늘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인력난이 발생하며, 임금상승률이 높아집니다.
임금상승률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죠!!
3)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란 물가가 올라갈 것 같다는 심리입니다.
예를 들어, 오늘보다 내일 물가가 더 올라갈 것 같다고 하면 우리는 어떤 행동을 하게 될까요?
'오늘이 제일 싼 가격이다'라고 생각이 든다면 우리는 바로 마트로 뛰어가겠죠!
오늘이 가장 싼 날이니까요!
그렇게 갑작스러운 수요 폭증으로 물가는 더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4) 원자재 가격 상승
대부분의 물건은 원자재를 기본으로 가격이 책정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인 자원, 원자재의 가격이 오르면 물가도 상승하게 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 석유가 가장 대표적이죠!
중동 전쟁, OPEC 석유 감산 정책 등등
우리의 실생활에 영향을 주는 원자재 가격의 등락폭은 우리의 심장을 요동치게 만드는 주원인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이란 무엇인가? 주식과 차이점이 000이라고? (0) | 2024.03.30 |
---|---|
투자의 기본, 포트폴리오라는 지루한 자산 분배방법? (0) | 2024.03.29 |
삼성페이의 활용성과 장점과 사용방법은? (0) | 2023.04.02 |
신용카드 단점 (0) | 2023.03.23 |
신용카드 사용 장점 (0) | 2023.03.23 |
댓글